2008. 12. 1. 11:49
언제 활자화된 논문이 보이나....하면서 맨날 pubmed에 들어가는 것이 최근 일이었는데요.
오늘 보니 제 논문이 이제 pubmed에 보입니다.

요새는 외국 저널들이 보면 먼저 책으로 나오기 전에 인터넷에 띄워놓더라구요.

물론 개원가의 환자만 대상으로 연구하다 보니...논문이 좀 허접하긴 한데요.
활자화된 것을 읽으니까...약간 낮네요....^.^

기념으로 혹시 논문 읽어보실 분은 연락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Pubmed에서 논문을 직접 볼수 있는 분은 물론 보실수 있겠지만.....

관련글.....
2008/09/27 - 드디어 Urology 저널에 저의 논문을 실었습니다....^.^
2008/09/19 - Urology논문을 다시 교정해서 보냈습니다.
2008/07/05 - Urology에서 제 논문이 드디어 under review.....
2008/06/16 - 개원하여 첨 써본 영어논문


p.s. 혹시 pubmed에서 논문 찾으실려고 하면 author 찾기로 해서 doo ck라고 치면 되요.
       예 ) doo ck[author]

p.s.2 . 그리고 그거 귀찮은 분들은 여기를 클릭
Posted by 두빵
2008. 11. 29. 09:05

원래 나는 소설을 잘 읽지 않는데 최근에 눈에 띄는 소설책이 있어서 구해서 읽어보았다. 이전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다빈치 코드'를 읽고 나서 처음으로 읽는 책이었다.

제목은 "쌍둥이별"
(좌측 사진출처 : 리브로)

백혈병에 걸린 언니를 위해 부모가 유전적으로 완전히 일치하는 동생을 낳으면서부터 비극이 시작된다. 계속되는 동생에서 언니로부터 수혈 및 골수이식등.... 동생의 동의를 받지 않고 언니를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계속되는 시술을 중단하기 위해 동생은 마침내 법원에 소송으로 이것을 중단하기를 요청한다.
소송중에서서 밝혀지는 가족 구성원들간의 끈끈한 유대감이 볼만하였으며, 이후 동생의 충격적인 반전으로 소설의 긴 이야기는 끝이 난다.

나도 참 주책인지는 모르겠지만, 오늘 지하철에서 이 소설을 읽다가 마지막의 결말때문에 눈물이 얼굴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고 이리저리 움직여서 옆 아가씨가 굉장히 이상하게 쳐다보기도 했다.

(사실 이 소설의 충격적인 반전의 뒷이야기를 이야기하고 싶지만, 이전에 '식스센스'를 상영할때, 그 영화를 보러가기 직전에 누가 꼬마가 유령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난뒤에 영화가 하나도 재미없었던 아픈 기억이 있어서, 소설의 재미를 위해서 여운을 남겨둔다....^.^ 궁금하신 분은 직접 읽어보시길...)

내자식의 첫째 아이가 만일 불치병이 걸려서 이식을 해야 하는데, 적당한 사람이 없다면....그 해결책으로 위와 같은 맞춤아기가 있다면....과연 나는 그 맞춤아기에 대해서 어떤 행동을 취할까.....
이 소설에서도 정확한 해답을 내려주지 않듯이, 실제로 위와 같은 경우라면 상당히 난감할 것 같다.

윤리적으로 상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도 그렇지만, 이 소설의 시점도 굉장히 흥미로운데, 이전에 읽었던 '사람아! 아! 사람아'라는 소설과 비슷하게 주인공들의 각자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형식이 다시금 새롭게 느껴진다.

사실 이 소설의 주제는 언니와 유전적으로 똑같게 만든 맞춤 아기라는 것이다.
맞춤 아기란 영어로 designer baby라고도 하는데, 비슷한 말로 구세주 아기 (saviour sibling) 혹은 스페어 아기(spare baby)라고도 한다.

일반인들이 맞춤아기라는 말로 느끼는 것은 아마도 유전자 조작을 해서 유전자를 새로 맞추는 것을 생각할 것이다. 부모는 능력이 되지 않아도 아이는 아이큐가 150이상 되고, 키도 훨씬 크고, 얼굴도 잘생기게 할 수 있는 유전자를 새로 조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꼬집은 영화가 내가 이전에 비디오로 봤던 가타카(Gattaca)라는 영화가 있다. 미래에서는 아주 좋은 우성인자만 가지고 유전자 조작을 하여 좋은 아이들만 태어나는데, 주인공은 그냥 열성인자를 가지고 태어나, 그 미래사회에서 어떻하든 적응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나온다. 당시 영화를 보니 주인공이 머문 자리를 항상 면밀히 관찰하여 치우던 장면이 눈에 선하다.
(origin: www.naver.com)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현재 의학기술로는 이렇게 할 수 있는 기술은 한참 먼 미래의 이야기이다.

간혹 언론에서 맞춤아기라는 이야기가 나오곤 하는데, 그 의미를 세분하자면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부모에게서 여러 난자를 빼내서 정자와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후에 이 배아들을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다. 유전자 검사로는 주로 PCR이나 FISH 방법같은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써서 검사를 시행하여 이중에서 언니와 동일한 유전자가 있는 배아를 찾아서 다시 부모의 자궁에 착상시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일경제신문에서 소개되었던 치료용 맞춤아기 출산과정
보면 인공수정을 해서 유전자검사를 시행후에 원하는 유전자가 있는 배아만 따로 자궁에 착상시켜 출산한 뒤에 다른 아이에게 골수나 피를 추출하여 이식한다.)


위의 방법은 주로 먼저 태어난 아이가 백혈병같은 질환이 있을때 이에 대해서 골수이식등을 시행하기 위한 가장 동일한 유전자를 얻기 위해서 시행한다.

그러나 약간 다른 맞춤 아기도 있다.

유전적 질환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녀에게 높은 빈도로 유전질환을 물려줄 가능성이 있는 부모가 아이에게 유전적 질환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서 인공수정으로 여러 배아를 검사한다음에 이중에 유전적 질환을 가지지 않은 배아만 따로 골라서 자궁에 착상하는 방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ipmpjogia.diknas.go.id)

만일 부모가 특정한 유전자때문에 생기는 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인공수정방법으로 여러 배아를 만들어서 이중에서 특정한 유전자가 없는 건강한 배아만 추출하여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위의 소설의 내용이 단순히 소설이겠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언론에서 보도된 예가 많다. 

첫번째 사례는 2000년 미국이었다. 유전질환인 ‘판코니 빈혈’ 을 가지고 있는 여섯 살 된 딸의 치료때문에 그 부모는 엄마의 난자들로 만든 10개의 배아 중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가장 적절한 하나를 선택하여 인공수정하여 남아를 출생하였으며 이 아이의 탯줄을 딸에게 이식하여 완치했다고 한다. 당시 담당했던 미네소타대학은 상당히 격렬한 논쟁이 붙었지만 허락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는 내가 언급한 2가지 방법중 첫번째로, 이전아이의 유전적 질환 치료를 위해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장기를 얻기 위해서 둘째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같은 방법으로 영국에서 `다이아몬드-블랙팬 빈혈'이라는 희귀병에 걸린 찰리 휘태커라는 네살의 아이때문에 이 시술을 신청하였으나, 영국에서는 법때문에 하지 못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둘째로 맞춤 아기를 출산했고 여기서 골수를 추출해 이식하여 두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고 한다.

내가 언급한 두번째 경우도 있다.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큰 유전자로 알려진 BRCA1이라는 유전자가 있다. 영국에서는 이 유전자때문에 3대에 걸쳐 유방암에 걸린 가족력을 가진 부모가 자신도 BRCA1이라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자녀에게는 물려주지 않기 위해 이 유전자가 없는 아이를 가지는 것을 신청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2006년도에는 섬유성낭포증이라는 서양인에서 잘생기는 유전병을 가진 부모가 먼저 생긴 자녀에게서 같은 질환으로 고생하는 것을 보고 둘째는 이 유전자가 없는 맞춤아기를 신청하여 성공적으로 태어났다고 한다.

이런 예가 대부분 영국에서 일어난 것 때문일지는 모르지만 올해 5월에는 올해 5월에는 영국 의회가 맞춤형 아기를 허락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고 한다. 불치병에 걸린 형제ㆍ자매를 살리기 위해 인공수정으로 시험관아기를 만드는 것을 합법화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인공수정으로 엄마의 자궁에 착상시키기 전에 배아의 유전자를 조사하여 유전병이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하는 방법을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라고 한다.
지금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방법은 임신시 양수검사를 하거나 융모막검사를 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으로는 태아나 엄마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를 줄 수가 있다. 따라서 그런 스트레스가 없는 위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윤리적인 문제는 나역시 나이도 일천하고 장차 어떤 결과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잘 모른다. 또한 하나의 적당한 배아를 얻기 위해 폐기될 수 있는 다른 수많은 배아에 대해서도 윤리적인 문제가 어떻게 결론날지는 모른다. 그러나 내가 위의 소설의 부모일때....또는 언론에 보도된 경우의 부모일때...내 자식을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라고 생각해보니,

오히려 더 생각이 뒤죽박죽이 된다. 위 소설의 부모처럼 ........

Posted by 두빵
2008. 11. 27. 14:18
이전에 내가 혼동했던 것중의 하나가 아인슈타인 우유에 들어가 있는 DHA를 DHEA로 혼동했다는 것이다. DHA는 docosahexanenoic acid로 수산물에 포함된 두뇌발달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알고 있다.
이것을 학창시절때 다른 의사와 이야기하면서 내가 "아인슈타인 유우에 있는 DHA가 DHEA인가요?" 라고 물었을때 그 의사의 대답이 걸작이었다.

"그럼 그 우유 이름을 아놀드 슈왈쳐제네거라고 지어야지..."

DHEA는 풀어 이야기하면 dehydroepiandrosterone이라는 말의 줄임으로 정상적으로는 신장위에 있는 부신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약 30세 이후부터 체내에서 낮아지기 시작하며, 식욕이 없는 사람, 말기신장질환, type2 당뇨병, 에이즈, 부신부전등을 가진 환자에서도 낮은 경향이 있다.

(의사라면 누구나 의대생일때 배우는 우리몸의 부신의 호르몬 기전....
주로 콜레스테롤에서 여러가지 호르몬들이 만들어지며 오른쪽 상부에 보면 DHEA가 보인다.
밑으로 내려오면서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과 여성호르몬인 estradiol등이 보인다.
출처 : www.blissfulfeelings.com)


이 DHEA가 왜 유명해졌냐 하면, 이전 비뇨기과 교과서에도 나오는 내용으로 미국에서 1990년도 초반에  남성을 대상으로 노화 및 성기능 감소에서 같이 감소되는 호르몬이 DHEA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이결과 이후로부터 DHEA가 노화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굉장한 선풍을 몰고왔다.

(당시에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의 열풍에 대한 기사를 언급한 주간 조선....
이 약이 회춘할 수 있다라고 하는 광고로 엄청난 히트를 했다. )





(나이에 따른 DHEA의 체네 농도의 대략적인 그래프.
보면 출생 초기에 잠깐 상승후에 다시 내려갔다가 20-30대에 가장 최고점을 지나 나이가 들면 들수록 계속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DHEA의 효능을 한번 살펴보자면....

DHEA는 부신부전이나 우울증, 임신시작, 전신성홍반성루프스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는 보고는 있으나 장기처방에 대한 효과는 아직까지 결과가 없다. 그리고 그외 다른 질환에 대한 효과는 아직까지 과학적인 효과가 부족하다. (예를 들면 노화, 알츠하이머병, 골밀도, 심장질환, 자궁경부암, 만성피로증후군, 코카인중독, 크론씨병, 심부전, 에이즈, 임신시작, 불임, 근이영양증, 배란장애, 부분남성호르몬 부족, 건선, 정신분열증, 패혈증, 발기부전, 쇼그렌씨병, 섬유근육통, 면역촉진제, 기억, 근육힘 등등) 즉 소규모의 연구에서 효과들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DHEA는 야생참마의 추출물(wild yam extract)을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합성될 수 있으나 체내에서 야생참마가 DHEA로 변환될 수 있다고 믿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광고에서 야생참마(wild yam)이 천연 DHEA로 소개되는 것은 옳은 이야기가 아니다.

DHEA의 복용법은 18세 이상의 성인인 경우 25-200mg을 하루에 복용한다. 에이즈 환자에서 우울증 치료를 위해서는 하루에 200-500mg을 복용한다. 약 1년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근거 논문이 있다.

먹는 DHEA에 큰 부작용은 없지만 간혹 오심, 배가 약간 불편, 피로, 코점막울혈, 두통, 여드름, 갑작스러운 심음등이 있으며 여성에서는 비정상적인 생리, 감정적 기복, 두통, 불면증등이 있다.
심음이 이상이 있거나, 피가 응고가 잘되거나 간질환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DHEA가 성호르몬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여성에서 남성화 증세(여드름, 피부가 남성화, 탈모, 수염, 땀이 많이 남, 허리체중 증가, 목소리가 굵어짐등이 있으며 남성에서도 여성형 유방, 유방통증, 혈압상승, 고환소실, 공경성증가등이 있다.

호르몬에 관련되지 않은 부작용으로는 체내 당증가, 인슐린저항성 증가, 콜레스테롤 대사이상, 갑상선호르몬이상, 부신기능이상등이 있다. 따라서 당뇨병등 위의 대사이상을 가진 환자들에게서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DHEA가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등 호르몬에 민감한 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하에 복용하여야 한다.

DHEA가 당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으로 약을 복용하는 분들에게는 주의해야 하며, 피를 응고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항응고제나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분들에게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담배도 피를 응고시킬 수 있으므로 담배피는 사람들에게도 당연히 주의해야 한다.
DHEA가 심장에도 영향을 미쳐 심음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정맥이 있는 분들에게도 주의해야 한다.


종합하자면....

DHEA가 회춘약은 절대 아니다.
노화에 따른 감소가 명확한 호르몬이긴 하지만, 부신저하증 등으로 혈중농도가 떨어진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는 이러한 DHEA 보충이 과학적 근거가 매우 빈약하다.

따라서 너무 광고를 믿고 DHEA에 대한 약을 맹신하지 않도록 하자.




참고: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DHEA에 대한 설명
Posted by 두빵
2008. 11. 24. 16:33

가끔 진료실에서 환자와의 이야기이다.
"사정시간이 너무 짧아서 조루 같아여....."
"몇분내에 사정하시는데요?"
"옛날에는 10분이상씩 된것 같은데, 요새는 어쩌다 보면 7-8분정도로 짧아졌어요...."
"???"

이런 경우 가끔은 부럽기도(?) 하면서 말문이 막히는 경우이다.
왜냐면 위의 경우는 정상인 경우이기 때문이다.
위의 질문은 정상인의 사정시간이 어느정도인지 잘 몰라서 이야기하는 경우일 것이다.

정상적으로 남자가 성관계시 어느정도 후에 사정을 할지 상당히 궁금해 하실줄 믿는다. (나역시도 가끔 궁금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임상적으로는 성관계시 질내에 삽입후에 사정까지의 시간(IELT, intravaginal ejaculatory latency time)을 사용한다. 즉 스톱와치를 가지고 질내 삽입시 요이땅....하면서 시계를 눌러 체크를 한뒤에 사정때 다시 눌러 그때까지의 걸린 시간을 검사하는 것이다.
사실 말이야 쉽지 이렇게 검사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스탑워치를 가지고 질내에 삽입후에 사정까지의 시간(IELT)을 재는 방법을 최근 의학연구에 쓰고 있다. 가장 객관적으로 시간을 잴수 있는 방법이다.
출처 : www.heatlbolt.net)


이것을 가지고 5개국 (미국, 영국, 스페인, 터키, 네덜란드)의 500쌍의 정상적인 커플을 대상으로 성관계시 질내에 삽입후 사정까지의 시간(IELT)를 검사해봤더만, 평균 5.4분이었다. (0.55 - 44.1분) 나이에 따라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30세이전까지는 평균 6.5분정도였으며 51세 이상인 사람들에게서는 평균 4.3분이었다고 한다.
국가적으로는 터키사람들이 가장 시간이 짧아서 약 3.7분(0.9 - 30.4분)이었다고 하며 포경수술을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사이에서 질내에 삽입후에 사정까지의 시간(IELT)가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1)

또한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동하는 성치료사들에게 어느정도 시간이 가장 적절한지에 대한 연구결과도 있는데, 적당한 시간은 약 3-7분정도였으며,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약 7-13분으로 3-13분정도의 삽입시간이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2)

물론 꼭 질내 삽입후에 사정까지의 시간과 환자가 만족감을 느끼는 시간이 다르다는 연구는 많다. 어떤 연구에 보면 2-3분내의 사정시간이 어떤 사람에게서는 조루로 생각할수도 있으며, 다른 사람은 정상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즉 사정까지의 시간이 절대적인 기준은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참고문헌 3,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문헌 3,4에 나오는 도표. 보면 약 1-2분내의 사람들에게서는 조루라는 환자가 많긴 하지만, 꼭 그런것은 아닌 것을 볼수 있다. 극단적으로 1분이내 시간이더라도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만족감이 어떻든, 위의 예와 같이 다른사람은 훨씬 길것이다....라고 추측하고 (이역시 우리나라에 범람하고 있는 노루표의 영향이 꽤 많을 것이다.) 자기자신은 왜 거기에 속하지 않는지를 걱정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많아서 글을 한번 올린다.

올해 우리나라에서 조루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적이 있는데, 10분 이내가 70%를 차지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최초로 조루증에 대한 유병율을 조사했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사실 질내 삽입후에 사정까지 시간(IELT)를 직접 체크하지 않아서 상당히 아쉬운 연구로 난 생각한다.
왜냐면 일반적으로 사람이 느끼는 시간과 직접 잰 시간이 꽤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하늘나라에 간 이은주의 '오!수정'이라는 영화에서와 같이 .....말이다.....(이말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영화의 주제를 생각해서 한 말이다....)
 
<참고문헌>
1. Waldinger MD, et al. A multinational population survey of intravaginal ejaculation latency time. J Sex Med. 2005;2:492-7.
2. Corty Ew, et al. Canadian and American sex therapists' perception of normal and abnormal ejaculatory latencies: how long should intercourse last? J Sex Med 2008;5:1251-6.
3. Giuliano F, et al. Premature Ejaculation: Results from a Five-Country European Observational Study. Eur Urol. 2007 Oct 16
4. D.L. Patrick, S.E, et al. Premature ejaculation: an observational study of men and their partners, J Sex Med 2005;2:358–367

Posted by 두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