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 26. 18:41

블로그를 하면서 이전부터 가끔 문의해오는 질문중의 하나는 전립선마사지검사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병원이 아닌 좀 다른 곳(?)에서 행해지는 전립선마사지가 병원과 같은 것이냐....라는 질문도 꽤 많았다.

이에 흥미를 느끼고 전립선마사지에 대한 검색을 좀 해보았다. 최근에는 성매매단속때문에 그런지, 상당히 이에 대한 기사가 많아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우선 병원에서 시행하는 전립선마사지를 한번 보자.
대부분은 전립선염의 진단이나 치료에 시행하게 되는데, 의사의 입장에서도 그리 유쾌한 검사는 아니다. 전립선마사지를 하는 검사방법은 영어로 expressed prostatic secretion (EPS)라고 쓰기도 한다.
한번은 병원 차트에 EPS라고 쓰고 있는데, 환자가 웃길려고 했는지....왈
"원장님....주식에 관심이 많으신 모양이군요....." (-.- 주식의 주자도 모르는데.....)

병원의 전립선마사지 검사는 환자의 똥꼬속에 의사의 집게손가락을 삽입하여 전립선이라는 기관을 찾아서 집게손가락 끝으로 꾹꾹 눌러준다. 이렇게 눌러주는 방법을 전립선마사지라고 하며, 전립선을 눌러주면 요도를 통하여 전립선액이 나오고 이것을 검사하면 전립선염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병원 이외에서 행해지는 전립선마사지는 앞서 이야기한것과는 좀 다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회음부마사지이다. 즉 음경부터 똥꼬까지의 피부를 꾹꾹 눌러주는 것이다. 회음부의 피부를 꾹꾹 눌러주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요새 전립선에 많은 관심이 있어서 그런지, 여러 포탈에서도 병원 이외에서 하는 전립선마사지에 대한 광고들이 참 많이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에서 막대기로 가리키고 있는 부분이 회음부이다. 즉 병원 이외에서 하는 전립선마사지는 회음부를 그냥 꾹꾹 눌러주는 것뿐이다. 출처 : by humantestpattern from flicker.com)

회음부를 마사지하는 것은 회음부 피부를 자극하는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실제로 전립선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바깥에서 누르는 힘으로 전립선까지 자극이 가려면 상당한 힘으로 회음부를 눌러야 하는데, 그정도 압력이면 아마 상당한 통증으로 시도조차 못할 것이다. 또한 가만히 있는 정상의 전립선조직을 만에 하나 괜히 자극을 주어 건드린다면 오히려 더 역효과가 날 수 있다.

간혹 기구(예를 들면 아네로스)를 사용하는 것도 문의하는 경우가 있는데, 회음부 마사지보다 훨씬 더 위험한 기구이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겠다.

어떻게 보면 최근의 전립선 건강에 대한 열풍에 편승하여 전립선마사지라는 그럴듯한 광고로 치장을 한 것이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전립선마사지가 아닌 회음부 마사지이다. 

전립선마사지....이제는 좀 의료계로 돌려주는 것이 어떨까.......

Posted by 두빵
2009. 6. 18. 09:13

내가 막 대학교 첨 들어왔을때 '서태지와 아이들'의 1집이 발매가 되었다. 당시 잘 모르고 있다가 공부(과외)가르쳐 주던 애가 그것을 듣길래, 잠시 듣다가 '오잉? 이렇게 좋은 음악이?"라는 생각으로 음반을 사서 한 2달간 지겹게 듣다가 거의 외울정도로 된 다음 듣지 않고 있었는데, 이후 서서히 주위에서 이 음반노래가 들리기 시작하더만 굉장한 히트를 쳤다.

중간에 보면 "환상속의 그대"라는 노래가 있다.
"환상속에 아직 그대가 있다. 지금 자신의 모습은 진짜가 아니라고 말한다."
라면서 강렬한 비트가 깔리는 노래는 1집 음반중에 내가 좋아하는 곡들중 하나이다. 물론 그 앨범의 모든 노래를 다 좋아하긴 하지만....

왜 갑자기 서태지 노래를 하냐면.....
지루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하고 싶어서이다.
수차례 지루에 대한 이야기를 부탁하신 분들도 있고 해서 나름 언급하려고 했지만, 사실 나도 지루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야기를 쓰는 것이 좀 어려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om flicker by Rod)

지루는 그 내용에 대해서 정확하게 의사에게 알리지 않기 때문에 의사가 알기에 상당히 어려운 질환에 속한다.
즉 간단한 진찰로는 하기 어렵고, 속에 있는 이야기를 모두 할 정도의 친밀감으로 정신과적인 상담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드믄 병인지는 모르겠지만, 성의학자로 유명한 카플란도 지루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할때 50케이스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고 한다.



물론 지루가 질병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여기서 언급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정상적인 남성에서 지루를 말한다.

지루는 보통 보면 자위와 관련이 있다. 몇몇 연구에서 보면 성관계에서 지루를 호소하는 환자들의 상당수는 자기자신만의 독특한 자위스타일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자위의 빈도나 스타일이 지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도 있다.

즉 자기 스스로 자위를 할때는 자기자신만의 성적인 환상속에서 자기가 최고로 흥분할 수 있는 자위방법을 사용하지만, 실제로 성관계시에는 성적인 파트너랑 이런 성적인 환상을 만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소통 부재로 자기자신을 흥분시킬 수 있는 방법을 파트너가 사용하지 않는 것 때문에 성적인 흥분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소통 부재의 원인은 아마도 부끄러움, 내면적인 혼란이나 의도적 무시등이 있을 수 있겠다.

물론 임신에 대한 걱정이나 기타 무의식적인 걱정등 다른 심리적인 영향도 언급할 수는 있다.

지루란 종합해보면 성적인 환상을 현실적인 성관계로 주입하지 못하는 "환상속의 그대"인 것이다.

따라서 치료는 당연히 환상속의 그대에서 헤쳐나오던가, 아니면 실제 성관계를 환상과 맞추는 방법이 있겠다. 근데 둘다 하면 좋지 않을까? (글쎄...뭐가 더 쉬을지는 잘 모르겠는데....^.^)

환상속에 그대에서 헤쳐나오는 방법으로는 해볼 수 있는 것이 자위를 중단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성관계욕구가 생길때까지 자위를 보통 2주부터 두달까지 중단해보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강렬한 욕구가 생긴다면 그때 성관계를 한번 해보는 것이다.

실제 성관계를 환상과 맞추는 방법으로는 파트너와 소통이 잘 되어야 할 것 같다. 자기자신은 이러이러한 성적환상이라면 흥분한다라는 것을 정확히 이야기해주어 파트너가 따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역으로 자기자신의 자위방법을 실제 성관계할때와 비슷하게 맞추는 방법이다.

물론 기타 잡스러운 걱정같은 심리적인 영향도 없애는 것이 좋긴 하겠다.

비공식적으로 약물로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효과가 있는 것은 없다. 그러나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발기부전에 대한 먹는 약이 나오고 1달정도 더 있으면 조루에 대한 먹는 약이 나올 예졍이다. 앞으로 지루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먹는 약도 아마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덧>
사실 지루에 대한 이야기는 쓰기가 상당히 어렵다. 의학적으로도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환자들이 의사들에게 솔직한 속내를 내보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나름대로의 여러문헌을 찾아보고 해서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한 글이므로 추후 연구결과에서 나의 생각이 틀렸을 수 있으며, 위의 글이 반드시 정답이라고 인식하지 않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Perelman MA, et al. Retarded ejaculation. World J Urol 2006;24:645-652

Posted by 두빵
2009. 6. 15. 01:10

좀 오래전의 이야기이지만 이전에 젊은 여성이 요로결석으로 내원하여 한동안 체외충격파쇄석술을 받았던 적이 있었다. 당시 젊은 여성이 결석이 굉장히 많아서,
"아니 뭘 먹길래 이렇게 결석이 많이 생겼어요?" 했더만,
"뭐 먹는 것 없는데요....골다공증약 먹는 것 말고는....."
"잉? 혹시 칼슘이나 비타민 D 같은 약 먹어요?"
"네...골다공증이 있다고 해서....."

당시 양쪽으로 생긴 무척 많은 돌을 제거한다고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한 6번정도 시행하여 결석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요로결석이 생겼으니 골다공증약을 좀 조절해야 되겠다고 내과선생님께 말씀드리라고 했더만, 나중에 보니 골다공증 약을 굉장히 줄였다고 했던 기억이 있다.

며칠전에도 폐경기 이후의 여성분이 요로결석 아니냐고 내원하였는데, 그분은 다행히 검사를 했지만 요로결석이 없어서, 칼슘을 먹지말고...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왈.....
"폐경기때는 골다공증때문에 칼슘을 먹어야 한다는데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음.....이질문에는 좀 대답하기가 상당히 껄끄러워진다.

 (이전에 어릴때 즐겨봤던 뽀빠이 만화. 항상 시금치를 먹는데, 이것때문인지는 몰라도 어릴때부터 항상 시금치를 많이 먹었다. 그러나 시금치는 특히 수산염이 풍부하여 요로결석 환자에게는 별로 좋은 식품이 아니다. 나도 그렇지만, 뽀빠이도 항상 물을 많이 먹어서 요로결석이 안생기는 것은 아닐까? 출처 : 위키피디아)

그렇다.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서는 골다공증의 위험때문에 칼슘이나 비타민 D가 많이 들어간 음식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는데, 그럼 요로결석의 위험성은 어떠한가.....궁금하다.

실제로 칼슘이나 비타민 D를 복용하는 것이 요로결석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상당하다.

일반적으로는 칼슘을 과잉으로 먹는다면 장에서 우리몸으로 흡수된 칼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칼슘이 수산염(oxalate)과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요로결석의 빈도가 떨어진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즉 칼슘보다는 수산염이 요로결석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더 많은 일조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유명한 의학저널인 NEJM에서 3만명 이상의 건강한 폐경기여성을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먹는 칼슘이나 비타민 D 를 복용하는 것이 신장결석의 빈도를 약 17% 정도 증가시켰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까지는 확정된 것은 아니다. (참고 1) 물론 다른 연구결과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보고도 있다.

그렇다고 요로결석의 위험성때문에 칼슘이나 비타민 D를 복용하지 않아서 나중에 골다공증이 발생하거나 다리뼈등이 골절되는 상황이 온다면 이것도 상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고관절골절이나 척추골절이 발생한다면 안그래도 몸이 젊은 사람에 비해서 불편한 중년이후의 여성에게 거동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삶에 매우 치명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2006년도에 미국의 폐경기학회(The North American Meopause Society)에서는 폐경기 여성에게서 칼슘에 대한 복용법에 대한 기준을 발표했는데, 그 일부를 약간 살펴보자면,(참고 2)

  • 폐경기이후의 여성에게서는 골다공증에 대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어느정도 칼슘을 복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하루에 약 1200mg/day)
  • 그러나 요로결석이 있거나 요로결석에 대한 위험도가 큰 폐경기 여성의 경우에는 인위적인 칼슘을 먹지 말고 칼슘 성분이 들어있는 음식으로 칼슘을 섭취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며, 만일 인위적인 칼슘섭취가 필요하다면 반드시 연령에 맞는 정확한 칼슘섭취와 함께 많은 양의 물을 섭취하여 요로결석을 예방하여야 한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즉 종합하여 말을 하자면.....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요로결석의 위험성이 없는 여성은 적절한 칼슘이나, 비타민 D를 복용하는 것은 문제가 안될수 있지만, 요로결석의 위험성이 있는 여성은 음식으로 칼슘을 섭취하도록 하며, 만일 골다공증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된다면 하루 2리터 이상의 물과 함께 나이에 따른 정확한 칼슘 섭취를 하여야 한다.

매번 하는 말이지만, 물론 담당의사의 소견을 먼저 따르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1. Jackson RD, et al, for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Calcium plu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k of fractures. N Engl J Med 2006;354:669-683
2.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The role of calcium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2006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2006;13:862-677

Posted by 두빵
2009. 6. 11. 08:08
발기에 문제가 있어 오시는 분들과 상담하다 보면 수많은 질문들을 하게 되는데, 그중 가장 많이 듣는 질문들중 몇가지는.....
"비아그라같은 약을 먹으면 나중에 발기가 더 안된다는데....."
혹은,
"비아그라 그거 일시적으로만 효과 있는거 아녀요? "

그렇게 말씀하시는 분들중에 발기문제를 완치 수 있는 방법은 술, 담배 중단하시고, 운동하시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라고 말씀을 드리면, 오히려 화내는 분들도 간혹 봐왔다.
"아니 그거는 당연한거 아녀요....그걸 조언이라고 하는거에요? 그거 말고는 없어요?"

음......어쩌다 하는 혼자만의 생각이지만, 당연하게 느끼는 것이 더 실천하기 어려운데, 그것을 왜 우선 실천하지 못할까....라는 생각도 들고, 병원에서 비방을 찾는 것도 좀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각설하고.......
근데 과연 비아그라 같은 약들이 일시적으로만 효과가 있고 발기부전을 치료할 수는 없는 것인가? 즉 다시 말해서 완치 (cure) 할 수 없는 것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화이자제약에서 베포한 정품비아그라 구별법.....위키피디아에 있는 비아그라 사진은 옛날것이거나 외국제품이거나 아니면 가짜일 가능성이 있어, 한국화이자제약의 설명을 인용하였다.)

실제로 동물실험에서 보면 비아그라의 성분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투여했을때 보면 성기를 구성하고 있는 해면체(cavernosal tissue)와 그곳에 피를 공급해주는 혈관의 내피세포(endothelium)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조직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여러문헌을 하나로 종합한 참고문헌 1을 보기 바란다. 인용하려고 하니 너무 많아서.....^.^)

이런 여러가지 동물실험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다음, 그럼 사람에게 비아그라같은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발기부전을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인가를 연구하게 되었다.

우선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중의 하나가 전립선암으로 근치적전립선적출술을 시행한 뒤에 일부 환자들에게서 발기부전이 오는데, 이런 환자들의 발기조직을 조금이라도 보존하기 위해 비아그라 같은 약을 투여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고, 예를 들자면 전립선암수술 뒤에 비아그라약을 꾸준히 복용하였더만 성기능 회복이 더 빠르고 좋았다는 보고도 있으며 (참고2), 실제로 음경의 조직을 현미경으로 조사해봤는데 비아그라가 수술후 음경조직의 퇴화를 예방한다는 결과까지 발표되었다. (참고3)

발기부전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는데, 비아그라를 그때그때마다 복용하는 것은 약을 중단했을때 발기부전이 다시 생겼지만, 일정기간동안 매일 약을 복용한다면 이후 약을 중단하더라도 발기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참고 4) 그러나 이 결과 이후에 아직까지 발기부전치료제를 중단하더라도 발기가 유지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동물연구에서는 비아그라같은 발기부전치료제가 음경의 조직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간을 대상으로 비아그라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였을때 음경조직을 강화시켜 발기부전을 완치할 수 있다는 것은 아직까지 하나의 가설로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전립선암수술뒤에 비아그라가 음경의 조직을 보강하는 것을 볼때에 앞으로 발기부전치료제가 음경조직을 강화시켜 발기부전을 완치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결과가 진행될 수도 있다.

발기부전 치료제가 보험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지속적으로 복용하기 보다는 글쎄.....약을 복용하기에 앞서 술, 담배를 중단하던가, 운동을 열심히 하는 것이 발기부전을 완치시킬 수 있는 길이며, 더 비용대비 효과적이지 않을까?



참고문헌 :
1. Montoris F, et al. Can phosphodiesterase type 5 inhibitors cure erectile dysfunction? Eur Urol 2006;49:979-86
2. Mulhall J, et al. The use of an erectogenic pharmacotherapy regimen following radical prostatectomy improves recovery of spontaneous erectile function. J Sex Med 2005;2:532-40
3. Iacono F, et al. Histopathologically proven prevention of post-prostatectomy cavernosal fibrosis with sildenafil. Urol Int 2008;80:249-52
4. Sommer F, et al. Curing erectile dysfunction: long term effects of taking PDE-5 inhibitiors on a daily basis. Eur Urol 2004;2(suppl):32, (abstract 118)

Posted by 두빵